안녕하세요
저는 총 4번의 시험끝에
컴활 1급 실기에
합격하였습니다.
현재 컴활 1급 실기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글을 쓰려고 하는데요.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글이니
가볍게 읽고 넘어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바로 보실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저는
유동균 실기 단기 인강과
여러 유튜브 영상들로
공부를 했습니다.
총 준비기간은
12/28~2/9
이고
(실 공부시간은 12/28~1/22 4주, 2/5~2/9 5일)
시험은
1/19, 1/20, 1/22, 2/9
이렇게 네 번을 봤죠.
1월에 본 시험이
2/5일날 결과가 나왔는데 모두
불합격이였고
바로 접수를 해서
운좋게 2/9를 잡아서 시험을 봤습니다.
첫 시험 1/19
엑셀 (55점)
15 30 20 10 10 15
표서식 / 계산 / 분석 / 매크로 / 차트 / 어플
15 12 10 5 8 5
엑세스 (58점)
30 25 25 20
DB구축 / 입력수정 / 조회출력 / 처리기능
25 17 12 4
둘째 시험 1/20
엑셀 (61점)
15 30 20 10 10 15
표서식 / 계산 / 분석 / 매크로 / 차트 / 어플
15 18 10 5 8 5
엑세스 : 합
셋째 시험 1/22
엑셀 (62점)
15 30 20 10 10 15
표서식 / 계산 / 분석 / 매크로 / 차트 / 어플
10 12 10 10 10 10
엑세스 : 합
넷째 시험 2/9
엑셀 : 합
엑세스 : 합
우선 처음 2주간은
유동균 1단계를 다 들었습니다.
그리고 3단계를 듣기 시작했죠.
강의대로 이해가 되든 안되든
강의를 듣고
곧바로 따라하는 식으로
인강을 들었습니다.
그러고 3단계에서 한 3~4개년 정도를 봤을 즈음
시험이 일주일이 남았고
제 머리상태는 약간 혼란스러웠습니다.
계속 따라하는 식으로 수업을 듣다보니
언제쯤 숙달이 될까 하는 두려움과
엑세스는 DB구축 외에는 하나도 이해가 안되는
상황속에서
강의를 듣기가 너무 버거웠죠.
그쯔음 유튜브강의를 찾아서 들었습니다.
마침 커미조아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최근 영상들이 많이 올라오고 있었고
설명도 정말 알기 쉽게 잘 해주셔서
영상들을 보며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을 모두 이해했습니다.
예를 들면
저는 엑셀에서 피벗테이블, 차트, 프로시저
엑세스에서는 거의 모든 파트를 어려워했는데
유튜브 강의를 들으니
훨씬 이해도 빠르고
최신 유형의 문제라 그런지
감도 익힐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남은 시간은 부족했던 파트들을
유튜브로 정리하고
시험을 보러 갑니다. (유동균 1단계 완강, 3단계 4~5개년 1회독, 유튜브 영상)
저는 두번째 시험에서
엑셀 계산함수를 4문제나 풀었기 때문에
합격을 거의 확신하였고
세번째 시험을 정말 아무 긴장없이
편하게 봤습니다. (전날에 하나도 공부를 하지 않았죠)
하지만 모두 떨어졌죠. (방심은 금물입니다.)
저의 페인을 분석해보면
분석작업-2를
모두 공부하지 않은게
불합격의 요인이였습니다.
상대적으로 쉬운 파트라
공부에 소홀히 했었는지
아니면
모든 유형을 다 보았다고
착각을 했는지 모르지만
시험 모두 처음보는 유형(통합, 부분합 및 정렬)이
나와서
시험 볼 당시에 많이 헤맸던 기억이 납니다.
계산함수나 피벗테이블, 차트 등등의 경우
여러 강의에서 강조를 많이 하기때문에
집중해서 공부를 한 반면에
분석작업-2는 배점이 10점임에도 불구하고
쉬운파트여서 모든 유형을 다 보지 않았었죠.
2/5일날 불합격임을 확인하고
2/9일 접수를 하고
약 4~5일간 공부를 합니다.
부족한 부분들은 유튜브 영상을 보며 매꿨죠.
그 사이에 새 영상들이 많이 올라왔었습니다.
아무래도 2021년 들어서 개정되면서
신경향의 문제들이 많이 나오다보니
최신 영상들은 꼭 봐줘야 했습니다.
실제로 2/9일 시험에서
전날에 공부한 문제들이 그대로 나왔습니다.
컴활을 준비하시면서
명심해야 할 몇가지를 말씀드리면
1. 절대로 만만하게 보지 말 것.(실기 합격률이 약 10%)
2. 답지를 보며 반복 숙달하기
3. 내가 부족한 부분이 뭔지 꼭 확인하기
4. 암기부분(예를 들면 엑세스 구문, 프로시저 구문, 익숙하지 않은 함수 등등) 정리본 미리 만들어서 보기
5. 시험 전 미리 접수하기, 시험에 떨어질 것을 대비해서 미리 접수해놓기(4일전 100%환불)
정도가 되겠고
시험 당일날 주의사항은
1. 수험표 챙기기
2. 꼭 여유롭게 30분 전에 시험장 도착하기 (10분전 입실)
3. 입실에서 앉으면 바로
엑세스는 창 설정이 탭인지, 창나누기인지 확인하기(본인에게 편한 설정, 개인적으로 탭이 편함) 확인
엑셀은 매크로 설정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
위 둘이 확인되었으면
곧바로 엑셀에 최근 사용 함수 들어가서
함수를 익힐 것.
잘 모르거나 익숙하지 않은 함수는 직접 써보면서 익히는 시간을 가질 것.
그러다가 문제지를 나눠주시면
곧바로 지문을 확인하고 읽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험 시작
엑셀은 꼭 순서대로 풀되 계산함수는 마지막에 풀 것, 그리고 프로시저 4-2는 버릴 것. (시간이 빠듯함)
엑세스는 순서대로 차근차근 풀 것 (시간이 적당함)
문제 유형별로 느낀 점들을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엑셀
표서식 / 계산 / 분석 / 매크로 / 차트 / 어플
표서식 : 유동균 인강 1단계를 듣고 3단계를 한 두 회차 듣다보면 자연스레 습득되는 파트
쉬운 유형에 속하고 조금만 실습하면 다 맞출 수 있는 문제유형
고급필터/조건부서식/페이지레이아웃 등등
계산 : 유동균 인강 1단계, 3단계를 한 두 회차 들으면 어느정도 감이 생긴다.
하지만 시험때는 분명히 시간이 빠듯하고 잘 안될 때가 많으므로 절대로 방심해서는 안된다.
풀이 순서는 사용자지정함수fn을 먼저 풀고 나머지를 푼다.
fn의 경우 if 와 select case 모두 골고루 나오므로 반드시 두 유형을 숙달해야 한다.
(필자의 경우 select case 가 첫 시험에 나왔는데 구문을 까먹어서 못품)
그리고 배열함수의 경우 어느정도 하다보면 감이 잡힌다. 그대로 하면 된다. 다만
시험 당일날 꼭 control shift enter를 잊지 말아야 한다. 당일날 긴장해서 내가 눌렀는지 안눌렀는지
생각이 안날 수 있다.
찾기함수 vlookup, match 등등은 충분히 숙달해야 한다.
계산함수들은 유동균 인강을 듣다보면 충분히 숙달이 된다.
분석작업-1(피벗) : 유동균 인강을 듣다가 도저히 이해가 안되서 커미조아 유튜브 영상을 보고 이해했다.
2021년부터 외부데이터 불러오기와 피벗 테이블이 합쳐졌는데
꼭 외부데이터 불러오기 4가지 유형을 정리해서 가야 한다. 이 내용은 수영쌤 유튜브 찾아보면 잘 나와있다.
모두 알다시피 부분점수가 없으니 꼼꼼하게 봐야하는 유형이다.
분석작업-2(부분합, 정렬, 유효성검사 등등)
상대적으로 쉬운 파트이나 한 번도 안풀어보면 무조건 헤매는 파트이므로 꼭 모든 유형을 봐야한다.
현재 시점으로 커미조아 유튜브영상을 다 보는 것을 추천한다.
(필자는 2번째 시험때 부부합 정렬문제에서 정렬을 먼저 했어야 했는데 부분합을 먼저했고 그래서 정렬을 못하여 10점을 못받았다.
3번째 시험에서 통합이 나왔는데 그 당시 처음보는 유형이여서 헤매다가 결국 못풀었다.)
차트 : 유동균 인강을 어느정도 보고 유튜브 영상도 보기를 추천한다.
차트는 그래도 부분점수가 있기때문에 (2점 5개) 어느정도 익히면 된다.
프로시저 : 4-2는 오래걸리고 어렵고 5점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버려도 된다.
다만 4-1과 4-3을 어느정도 숙달해줘야 한다. 문제가 정형화되어있어
유동균 인강과 유튜브 영상을 어느정도 보고 헷갈리는 부분들은 적어서 따로 외워주면 좋다.
엑세스의 경우
직접 풀어보는 것에는 유동균 인강이 좋고
그 전에 내용을 이해하는 부분에서는
꼭 유튜브 영상을 보길 추천드립니다.
저의 경우 커미조아 영상들을 보고 전 유형들을 다 이해하였고
실제로 시험에서도 엑세스는 흔들림 없는 합격점이 나왔습니다.
특히 마지막 유형이 쿼리인데
배점이 크니
잘 공부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두서없이 글을 써봤는데요
제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됬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모두 화이팅!!
'성장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2.5 컴활 1급 실기 불합격 수기 (0) | 2021.02.05 |
---|
댓글